안녕하세요.
오늘은 MIT 연구진이 최신 연구를 통해 대형 언어 모델(LLM)을 어떻게 복잡한 계획 문제 해결에 활용하는지를 소개드립니다.

LLM과 최적화 문제 해결의 연결고리
🔍 대형 언어 모델이란?
대형 언어 모델(LLM, Large Language Model)은 자연어를 이해하고 생성할 수 있는 인공지능 모델입니다. 대표적으로 ChatGPT와 같은 모델이 있으며, 문장 요약, 번역, 작문 등 다양한 언어 기반 작업을 수행할 수 있습니다.
🧠 그런데 왜 계획 문제는 어려울까?
LLM은 언어를 기반으로 한 응답은 뛰어나지만, 여러 단계에 걸친 복잡한 계획 문제(예: 생산 라인 최적화, 경로 계획 등)를 스스로 해결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습니다. 이는 계획 문제에 수학적 최적화와 정밀한 조건 설정이 필요하기 때문입니다.
조합 최적화 문제란 무엇인가요?
🧩 개념 정리
조합 최적화 문제는 다양한 선택지 중에서 가장 이상적인 조합을 찾는 문제를 말합니다. 예를 들어, 여러 공급처에서 원재료를 구입하고, 가공 후 판매처로 배송하는 데 있어 비용을 최소화하는 공급망 구성도 조합 최적화의 한 예입니다.
🏭 주요 활용 분야
- 물류 및 배송 경로 최적화
- 생산 공정 시간 배분
- 공장 내 로봇 경로 계획
- 항공편 및 승무원 스케줄링
기존 LLM의 계획 문제 한계
⚠️ 자연어 처리와 수학적 문제 해결의 차이
기존 LLM은 언어 데이터를 처리하는 데 특화되어 있어, 수학적인 조건이 필요한 계획 문제를 해결하는 데는 많은 오류가 발생합니다. 특히, 다양한 제약 조건과 변수들을 논리적으로 처리하는 데 어려움을 겪습니다.
🔁 반복 오류의 문제
LLM이 스스로 문제를 수식화하거나 수치화할 경우, 사람이 보기에는 명백한 제약 조건(예: 음수 배송량 불가 등)을 간과하는 경우가 많아 계획 수립에 실패하는 경우가 많습니다.
LLM 기반 형식화 프로그래밍(LLMFP) 프레임워크
🛠️ 핵심 아이디어
MIT 연구진은 LLM의 언어 이해 능력과 수학적 최적화 알고리즘을 결합하여, 사용자가 자연어로 문제를 설명하면 LLM이 이를 최적화 수식으로 자동 변환하고 문제를 해결하는 LLMFP 프레임워크를 개발했습니다.
🧰 필요조건
- 문제에 대한 자연어 설명
- 과제의 배경 정보
- 사용자의 목표 정의
LLMFP는 어떻게 작동하나요?
🔡 1단계: 자연어 입력 분석
사용자가 설명한 문제에서 핵심 변수와 조건을 추출합니다.
📐 2단계: 최적화 수식 생성
LLM이 수학적으로 문제를 수식화하고, 코드를 작성하여 최적화 도구에 전달합니다.
🧪 3단계: 해법 계산 및 출력
최적화 도구가 계산한 해답을 LLM이 다시 사용자 친화적인 자연어로 출력합니다.
자체 검토 및 반복 보정 기능
✅ 오류 탐지 및 수정
LLMFP는 각 단계별로 스스로 결과를 점검하고, 오류가 있을 경우 자동으로 문제 수식을 다시 작성하여 정확성을 높입니다.
🔄 숨겨진 제약 조건 처리
예를 들어, ‘마이너스 수량 배송 불가’와 같은 인간의 상식을 LLM이 처음에는 놓칠 수 있지만, 자체 검토 단계에서 이를 감지하여 수식에 반영합니다.
실제 사례: 커피 공급망 최적화
☕ 문제 시나리오
커피회사가 세 공급처에서 원두를 구매해 두 공장에서 로스팅 후 세 매장에 배송해야 할 경우, 다양한 제약 조건과 비용을 고려해 최적화된 계획을 수립해야 합니다.
💡 LLMFP의 해법
- 자연어로 입력된 문제를 수학적으로 정식화
- 코드 작성 및 최적화 도구 호출
- 최소 비용을 달성하는 계획 자동 수립
성능 비교 실험 결과
📊 수치 기반 비교
9개의 다양한 계획 문제에 대해 LLMFP는 평균 85%의 성공률을 보였으며, 기존 최고 성능 모델 대비 약 2배의 성능 향상을 기록했습니다.
직관적인 사용자 인터페이스
👤 비전문가도 사용 가능
기존에는 전문가만 사용 가능한 최적화 도구였으나, LLMFP는 자연어만으로 문제 해결이 가능해 누구나 접근할 수 있습니다.
활용 가능한 산업 분야
🏭 적용 사례
- 공급망 관리
- 제조 라인 시간 배분
- 항공 승무원 스케줄링
- 창고 로봇 이동 경로 계획
연구의 중요성과 파급력
🌍 AI와 수학 최적화의 융합
언어 기반 사고와 정량적 사고를 결합해 복잡한 문제를 단순화하고, 더 많은 사람이 고급 기술을 활용할 수 있게 했다는 점에서 큰 의의가 있습니다.
앞으로의 가능성과 확장성
🖼️ 시각 정보 입력 계획
향후 LLMFP는 이미지 입력까지 지원하여, 자연어로 설명하기 어려운 시나리오도 시각적으로 입력받아 더 정확한 계획 수립이 가능해질 전망입니다.
결론: AI 계획 문제 해결의 새로운 패러다임
🧾 정리
- LLM과 수학 최적화의 융합으로 누구나 복잡한 문제를 해결 가능
- 높은 정확성과 적응성
- 산업 전반에 활용 가능성 높음
출처
https://news.mit.edu/2025/researchers-teach-llms-to-solve-complex-planning-challenges-0402
Researchers teach LLMs to solve complex planning challenges
A new large language model framework teaches LLMs to use an optimization solving algorithm to resolve complex, multistep planning tasks. With the LLMFP framework, someone can input a natural language description of their problem and receive a plan to reach
news.mit.edu
'AI 트렌드' 카테고리의 다른 글
Quasar Alpha – OpenAI의 비밀 모델인가? 100만 토큰 문맥을 지원하는 스텔스 LLM의 정체 (2) | 2025.04.05 |
---|---|
NVIDIA, 마침내 CUDA에 네이티브 Python 지원 추가 – GPU 개발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(0) | 2025.04.05 |
LLM 추론용 가성비 GPU 완벽 분석 (2025년 3월 기준) (1) | 2025.04.05 |
Midjourney V7 Alpha 업데이트 – 차세대 AI 이미지 생성 기술의 혁신 (2) | 2025.04.04 |
추론 모델은 항상 생각을 말하지 않는다 - Chain-of-Thought 의 신뢰성 문제와 한계 (0) | 2025.04.04 |